이진호(인천중구문화재단 문화도시팀)
IN
어떤 특정한 시기의 비슷한 연령대에 사람들을 우리는 ‘~세대’라고 이야기한다. 당시 사회·경제·문화적 관점에서 가장 뜨거운 이슈를 함축적으로 담아낸 키워드와 함께 지칭하는 것인데, 1960년대 ‘386세대’부터 2020년 ‘MZ세대’까지 세대문화에 포함되는 연령대 범위만 해도 60년에 이른다. 우리나라에서 ‘~세대’의 흐름과 역사가 갖는 의미와 상징성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최근, 앞서 언급한 60년 이상의 시간을 관통하며 새로운 ‘세대’의 의미를 구축해 나가고 있는 매력적인 공간을 향해 동인천 깊숙한 골목으로 발길을 내어본다.
인천에 들다. 인천에 스며들다.
인더로컬 협동조합은 인천만의 매력을 발굴하고 문화콘텐츠를 기획·제작한다. 인천이라는 물리적 범위 안에서 사람들이 인천을 ‘각자의 로컬(마음의 고향)’로 여길 수 있기를 바라는 방향성을 회사 브랜드에 담았다고 한다. 인더로컬은 ‘지역 안에서’라는 의미도 있지만, ‘인’은 仁(인천), in(안에서), 人(사람)이라는 세 가지 의미가 담겨있다.
동인천을 고향 또는 제2의 고향으로 여기는 조합원들은, 동인천·신포동 일대 ‘지속가능한 관광산업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뜻을 모았다. 인천에서 가장 오래된 도심인 개항장과 동인천을 거점으로 동네마다의 숨어있는 매력을 끌어내고, 콘텐츠로서 대중에게 소개하고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생략)
기사 원문 보기
이진호(인천중구문화재단 문화도시팀)
IN
어떤 특정한 시기의 비슷한 연령대에 사람들을 우리는 ‘~세대’라고 이야기한다. 당시 사회·경제·문화적 관점에서 가장 뜨거운 이슈를 함축적으로 담아낸 키워드와 함께 지칭하는 것인데, 1960년대 ‘386세대’부터 2020년 ‘MZ세대’까지 세대문화에 포함되는 연령대 범위만 해도 60년에 이른다. 우리나라에서 ‘~세대’의 흐름과 역사가 갖는 의미와 상징성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최근, 앞서 언급한 60년 이상의 시간을 관통하며 새로운 ‘세대’의 의미를 구축해 나가고 있는 매력적인 공간을 향해 동인천 깊숙한 골목으로 발길을 내어본다.
인천에 들다. 인천에 스며들다.
인더로컬 협동조합은 인천만의 매력을 발굴하고 문화콘텐츠를 기획·제작한다. 인천이라는 물리적 범위 안에서 사람들이 인천을 ‘각자의 로컬(마음의 고향)’로 여길 수 있기를 바라는 방향성을 회사 브랜드에 담았다고 한다. 인더로컬은 ‘지역 안에서’라는 의미도 있지만, ‘인’은 仁(인천), in(안에서), 人(사람)이라는 세 가지 의미가 담겨있다.
동인천을 고향 또는 제2의 고향으로 여기는 조합원들은, 동인천·신포동 일대 ‘지속가능한 관광산업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뜻을 모았다. 인천에서 가장 오래된 도심인 개항장과 동인천을 거점으로 동네마다의 숨어있는 매력을 끌어내고, 콘텐츠로서 대중에게 소개하고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생략)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