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연희 기자
근대건축물 재생 공간 조성
청년·주민·예술가들 협업
지속 가능 여행 콘텐츠 선봬
이곳의 눅진한 역사는 1920년 일본인 소유 상가형 주택으로 시작했습니다. 1950년대 해방 이후 한국인에게 소유권이 이전돼 개인 회사와 국제통운주식회사, 한국해운주식회사 등 사무실로 활용되다가, 1980년대 다양한 이름의 유흥주점으로 운영되기도 했는데요. 정처 없이 다양한 쓰임으로 활용됐던 건물은 새로운 로컬 문화를 알리는 중심이 됐습니다.
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인천도시재생사업도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지역의 고유한 문화를 통한 도시재생으로 '로컬'이 주목받고 있는데요. 지나간 시간의 깊이를 간직한 공간에서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가 새로운 시작을 제안합니다. 지속 가능한 여행 콘텐츠를 선보이는 포디움126에서 인천의 색다른 매력을 느껴보길 바랍니다.
기사 원문 보기
조연희 기자
근대건축물 재생 공간 조성
청년·주민·예술가들 협업
지속 가능 여행 콘텐츠 선봬
이곳의 눅진한 역사는 1920년 일본인 소유 상가형 주택으로 시작했습니다. 1950년대 해방 이후 한국인에게 소유권이 이전돼 개인 회사와 국제통운주식회사, 한국해운주식회사 등 사무실로 활용되다가, 1980년대 다양한 이름의 유흥주점으로 운영되기도 했는데요. 정처 없이 다양한 쓰임으로 활용됐던 건물은 새로운 로컬 문화를 알리는 중심이 됐습니다.
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인천도시재생사업도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지역의 고유한 문화를 통한 도시재생으로 '로컬'이 주목받고 있는데요. 지나간 시간의 깊이를 간직한 공간에서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가 새로운 시작을 제안합니다. 지속 가능한 여행 콘텐츠를 선보이는 포디움126에서 인천의 색다른 매력을 느껴보길 바랍니다.
기사 원문 보기